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지털관광주민증 신청 및 발급 방법 혜택 가이드

by 모이윤 2025. 4. 22.

    [ 목차 ]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여기서 한 달 살기 해보고 싶다’는 생각, 해본 적 있지 않으세요?

지역을 여행지로만 스쳐 가는 것이 아니라, 잠깐이라도 주민처럼 살아보는 경험은 확실히 특별하죠.

그런 사람들에게 딱 맞는 프로그램이 바로 ‘디지털관광주민증’이에요.

2025년에도 디지털관광주민증 사업이 다시 시작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관광주민증이 뭔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어떤 혜택이 있는지 하나씩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1. 디지털관광주민증이란?

디지털관광주민증은 간단히 말해, 여행자가 지역 주민처럼 생활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에요.

일정 기간 해당 지역에 머물면서 다양한 관광 콘텐츠를 체험하고, 지역과의 연결고리를 만들어가는 거죠.

여행자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지역에는 활력을 불어넣는 좋은 취지에서 출발한 사업이에요.


2023년 시범 운영을 거쳐 2024년에는 본격적으로 전국 확대가 되었고, 2025년에도 19개 지역이 참여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어요.

디지털관광주민증을 발급받으면 해당 지역의 문화, 관광시설, 체험 활동, 상점 등을 특별한 혜택과 함께 즐길 수 있어요.

마치 ‘임시 주민’이 된 것처럼요!

 

2. 디지털관광주민증 참여 지역

올해는 총 19개 지역이 선정되었어요.

강원, 전남, 경북, 제주뿐만 아니라 수도권 외곽의 소도시나 숨은 명소들도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취향에 따라 골라서 신청할 수 있어요.

디지털 관광주민증 참여지역 확인 바로가기

경기: 가평군, 연천군

인천: 강화군

충남: 예산군, 태안군

충북: 괴산군, 단양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강원: 삼척시,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경남: 거창군, 하동군, 합천군

경북: 고령군, 안동시, 영덕군, 영주시

부산: 서구, 영도구

전남: 신안군, 영광군, 장흥군, 해남군

전북: 고창군, 남원시, 무주군, 임실군

 

각 지역마다 제공하는 혜택이나 프로그램이 다르기 때문에 미리 어떤 콘텐츠가 있는지 확인하고 신청하는 게 좋아요.

3. 디지털관광주민증 신청방법

신청은 아주 간단해요. 디지털관광주민증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되고, 별도 방문 없이도 등록이 가능해요.

1) 투어원패스 소셜로그인

2) 대한민국 구석구석 회원가입

3) 서비스 이용약관 동의 및 본인 인증 완료 후 관광 주민증 발급

네이버나 카카오톡 계정 연동도 가능해서 편리해요.

 

4. 디지털관광주민증 가맹점 쿠폰 이용방법

쿠폰 이용 방법은 세 가지가 있으며, 편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첫번째 방법

1) 나의 통합 관광주민증을 직원에게 제시

2) 가맹점 직원 확인(쿠폰 사용 완료)
3) 관광주민증이 없을 경우 직원의 안내의 따라 단계별 발급 진행

두번째 방법

1) 가맹점 3Km 이내에서 모바일 쿠폰 받기 적용

2) 안내에 따라 단계 별 가맹점 쿠폰 발급 진행

3) 가맹점 쿠폰 발급 완료 후 직원에게 제시

 

세번째 방법

1) 가맹점에서 직접 QR 스캔

2) 안내에 따라 단계 별 가맹점 쿠폰 발급 진행

3) 가맹점 쿠폰 발급 완료 후 직원에게 제시

5. 디지털관광주민증 혜택

단순히 관광지를 할인받는 걸 넘어, 지역의 주민처럼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매력이에요.

 

1) 체험 프로그램 할인
지역 문화 체험, 공방 체험, 로컬푸드 쿠킹클래스, 전통시장 투어 등

예를 들어 진도군은 진도개 체험, 울진은 해양 치유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요

 

2) 음식점·카페 할인
관광객이 잘 모르는 로컬 식당도 주민증 제시 시 특별 할인 제공

일부 지역은 스탬프 투어를 통해 무료 음료 제공 이벤트도 있어요

3) 숙소 할인
지역 협력 숙소와 연계한 장기 체류형 할인 혜택도 마련됨

보통 1주 이상 체류 시 추가 할인 혜택이 주어지기도 해요

 

4) 지역 전용 이벤트 참여
디지털관광주민증 소지자 전용 프로그램 운영 (예: 플로깅, 마을 파티, 로컬 투어)

실제 지역 주민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도 장점이에요

5. 디지털관광주민증의 장점

비용 부담은 줄이고, 경험은 풍부하게!
숙박과 식비, 체험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할인을 받을 수 있어 여행 예산을 줄일 수 있어요.

 

여행과 삶의 경계 허물기
단기 여행이 아니라 일정 기간 머물면서 지역의 리듬을 함께 느낄 수 있다는 건 매우 특별한 경험이죠.

 

지역과의 교감
여행자이면서 동시에 주민이 되는 느낌. 마을사람들과 인사를 나누고, 단골 가게가 생기는 기분도 누릴 수 있어요.

 

6.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 1주일 이상 체류형 여행 계획 세우기 → 가성비 여행을 위해서 3박 4일 이상 일정 추천!
  • 지역 커뮤니티 공간이나 행사 정보 알아보기 → 디지털관광주민증 참여자 전용 채널에서 공지되는 경우가 많아요.
  • 로컬 SNS 팔로우해서 최신 혜택 받기 → 인스타그램이나 카카오채널 등 통해 추가 쿠폰 받을 수 있어요.
  • 지역 농산물 직거래도 시도해보기 → 일부 지역은 로컬푸드 마켓 연계도 운영 중이에요.

디지털관광주민증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새로운 방식의 ‘생활형 여행’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줘요.

2025년엔 나만의 루틴을 만들어 지역에서 잠시 살아보는 특별한 여행, 한 번쯤 해보는 건 어때요?

조금 더 여유롭게, 조금 더 깊이 있게 여행하고 싶다면 지금 바로 디지털관광주민증 신청해보세요.

올해는 어떤 지역이 나의 두 번째 고향이 될지, 설레는 마음으로 시작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